초등생키우기

되돌아보는 2025년 수학능력시험에 대해서...

goldro 2025. 3. 8. 18:14
반응형

우리 아이가 어느덧 초등학교6학년이 되었다. 당장 내년이면 중학생이다.. 이제 수능까지 대략 7년이 남았는데, 요즘 입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니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 예전에도 물론 학교 지원할 때 작전이라는 것을 짰지만 지금처럼 오만가지를 생각해야 하는 경우수가 있을까.... 그리고 좀 빠른 것은 아닌가? 

하지만 작금의 시기에서는 초등생들 본인이 미래를 설계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수능에 대해 걱정하는 것이 조금 이른 감이 있긴 하지만,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걱정은 아니다.

요즘은 초등학생 본인이 수능이 중요하다라는 말을 부모님이나 선생님으로부터 들어서 자연스럽게 걱정을 한다던가, 집안의 형, 누나, 오빠, 언니가 힘들어하는 것을 보고 그 분위기에 영향을 받는 경우, 그리고 좀 먼 이야기이지만, 공부를 잘해야 좋은 학교 가고 좋은 직업을 갖는다는 말을 들으며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끼면서 수능준비에 대해 걱정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초등학생이라면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지금은 수능보다는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배우는 게 더 중요하다.

다양한 독서, 논리적 사고, 글쓰기,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는 게 훨씬 도움이 될 수 있다. 

 

초등학생이 독서, 논리적 사고, 글쓰기,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려면 재미있게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실력을 키우는 게 중요한데, 아래의 방법을 추천한다.. 

독서 능력 키우기

  1. 흥미 있는 책 읽기 – 교과서에 나오는 책뿐만 아니라, 동화책, 만화책, 과학책, 역사책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기
  2. 질문하며 읽기 –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 뭘까?", "이 장면에서 주인공이 왜 이렇게 행동했을까?" 같은 질문을 스스로 던져 보기
  3. 독서 기록 쓰기 – 책을 읽고 느낀 점, 궁금한 점, 새롭게 배운 점을 간단히 적어 보기

논리적 사고력 키우기

  1. 추론 게임 하기 – 예를 들어, "만약 내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같은 가정을 해 보고 논리적으로 생각해 보기.
  2. 퍼즐이나 보드게임 하기 – 체스, 루미큐브, 젠가 같은 게임은 전략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연습
  3. 왜? 라는 질문 습관 들이기 –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왜 그럴까?"를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면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힘기르기

글쓰기 능력 키우기

  1. 일기 쓰기 – 오늘 있었던 일을 간단히 적고, 느낀 점이나 다른 방법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같은 생각을 추가
  2. 만화나 동화 이어 쓰기 – 좋아하는 만화나 동화를 읽고, **"내가 작가라면 다음 이야기를 어떻게 만들까?"**라고 생각하며 써보기.
  3. 설명하는 글 써보기 – 어떤 물건(예: 스마트폰, 냉장고)의 작동 원리를 다른 사람에게 쉽게 설명하는 글을 써 보면 논리적인 글쓰기 연습

수학적 사고력 키우기

  1. 생활 속에서 수학 찾기 – 예를 들어, 마트에서 물건을 살 때 "이 물건을 3개 사면 얼마일까?"를 계산해 보기.
  2. 퍼즐 & 숫자 게임 하기 – 스도쿠, 마방진, 숫자 카드 게임 같은 것을 해 보면 수학적인 사고력이 기르기
  3. 규칙 찾기 연습 – "1, 3, 6, 10, 15, (?), (?)" 같은 숫자 패턴을 보고 다음 숫자를 예측하는 연습. 특히 이 연습을 많이 하면 좋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재미있게 하는 것!
무조건 공부처럼 하기보다는, 게임이나 놀이처럼 즐기면서 익히는 게 제일 효과적이다. 

 

수능이 중요한 시험이긴 하지만, 너무 일찍부터 걱정하면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으니 차근차근 준비하는 게 좋을 것 같다.

반응형